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1

전국 국립묘지 (현충원, 호국원), 지방보훈(지)청 위치 쉽게 찾는 방법 전국 국립묘지 (현충원, 호국원), 지방보훈(지)청 위치 쉽게 찾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국가보훈부 누리집에서는 지방청이나 지청 혹은 선열공원 등만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별도의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용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국립묘지 & 보훈 지방청 찾기 1. 보훈부 누리집으로 진입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통해 해당 페이지로 바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2. 확인가능한 정보는 아래 이미지 보시는 것처럼, 지방청, 지청, 호국원, 현충원, 선열공원, 민주묘지, 현충원 등 6가지입니다.  3. 검색을 희망하는 지역 혹은 기관형태를 선택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서울특별시로 지역만 설정하여 검색해 보겠습니다.  검색결과를 보면, 위 이미지처럼, 지청 2곳, 지방청 1곳, 민주묘지 1곳이 있음을 확인.. 2024. 7. 14.
국가유공자 국가보훈등록증 교체 발급 및 금융기관(은행) 신분증 활용 국가유공자 국가보훈등록증 교체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변경되는 국가보훈증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신분증으로도 활용이 가능해집니다. 교체 재발급 신청 방법과(시기 및 준비물) 금융기관 사용 방법에 대해 간단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교체 발급 기존의 보훈 신분증은 2028년 6월 4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24년은 신규 국가보훈등록증 집중 신청 기간입니다. 신청은 온,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주소지 관할 보훈지청에 직접 방문 신청하거나, 온라인 [나만의 예우] 누리집에서 인터넷 신청도 할 수 있습니다.  전국 지방 보훈청, 보훈지청 현황 (관할 지역, 문의 연락처, 주소)전국 6개 지방 보훈청과 21개 보훈지청 현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각 보훈 관서의 주소, 문의 연락처를 .. 2024. 7. 12.
2024년 7월 호국 보훈 기념식 및 행사 일정 2024년 7월 호국 보훈 기념식 및 행사 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중 6월에 가장 많은 보훈 행사가 진행되는데, 이에 반해 7월에는 이승만 대통령 추모식 등 7건의 행사 예정으로 가장 적은 보훈기념식이 계획된 월 중 하나입니다.   총괄구분계추모식(추모제)기념식 정부기념식 기타1월642002월1164103월1492305월15111126월20112347월77000  일자별 행사 ▷ 최운산 장군 순국 79주기 추도식주관 : 최운산 장군 기념사업회일시 : 7.5.(금) 14:00장소 : 서울현충원 현충관주소 : 서울 동작구 현충로 210   ▷ 최수봉 의사 순국 제103주기 추념식주관 : 밀양 향토청년회일시 : 7.8.(월) 10:30장소 : 최수봉의사 추모기적비주소 : 경남 밀양시 상남면 마산리 21.. 2024. 7. 10.
말하는 나라사랑신문 오디오북 다운로드 및 듣는 방법 (PC, 스마트폰) 국가보훈부에서 발행하는 나라사랑신문, 촘촘한 글자 읽는 것이 불편하다면 대신 읽어주는 [말하는 나라사랑신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북처럼 신문 전체 내용을 PC는 물론 스마트폰에서도 청취가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및 듣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말하는 나라사랑신문 보훈부에서는 매 월 발간하는 나라사랑신문을 MP3 파일로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30분 전후 길이의 오디오북처럼 제작되며,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저장하여 라디오 듣듯 가볍게 들을 수 있습니다.  1. 먼저 말하는 나라사랑신문 인터넷 페이지로 진입합니다. ▷ 말하는 나라사랑 신문 누리집(바로가기) 말하는 나라사랑신문 - 보훈홍보관 - 알림·소식 - 국가보훈부172 2024년 7월호 말하는 나라사랑신문 홍보담당관 2024-07-01 171 2.. 2024. 7. 8.
2024년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전국 자치단체별 평균 지급액 비교 2024년 참전유공자 명예수당 자치단체별 평균 지급액을 비교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가보훈부에서는 매 월 42만 원의 명예수당을 지급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에서도 전국 평균 20.6만 원의 수당을 지급 중에 있습니다. 가장 적게 지급하는 곳과 최고 금액을 지급하는 곳, 어디일까요?   평균 지급액  앞서 언급했듯, 국가보훈부 지급 수당을 제외한 각 지자체(광역, 기초)의 평균 지급액은 206,000원입니다. 이 금액은 2023년 183,000원 대비 23,000원 인상된 금액으로, 12.5%의 인상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광역단체 17곳은 모두 지급 중이며, 기초단체는 226곳 중 9 지역(4%)을 제외한 217곳(96%)이 지급하고 있습니다. ▷ 2020년 이후 참전명예수당 평균 지급액 변화구분지급액 평균.. 2024. 7. 6.
국가유공자 세금 감면 혜택 간단 정리 (주요 내용 및 지원 대상) 국가유공자가 지원받을 수 있는 혜택 중 세금 감면 분야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요 내용은 연말정산, 상속세 및 증여세, 지방세(취득세 및 자동차세), 개별 소비세 등 6개 분야이며 지원 대상자와 함께 혹시 놓치신 부분은 없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국가유공자 세금 감면 주요 내용 1. 연말 정산연말정산 시 200만 원을 추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국가유공자증(사본 혹은 확인원) 제출은 불필요합니다.  2. 상속세 및 증여세증여받은 재산인 경우 5억 원 한도로 과세가액에 불산입 합니다. 이경우 신탁재산으로 제한됩니다.  3. 비과세 종합저축 소득세 비과세이자 소득에 대한 소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는데, 5천만 원 이하의 비과세 저축에 가입한 경우에 적용됩니다.단, 2025년 12월 31일 기준 직전 .. 2024.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