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호국 보훈 국가유공227

국가유공자 (본인, 자녀, 형제) 군대 병역 혜택 간단 정리 (대상자, 지원내용) 국가유공자 본인 혹은 자녀 및 형제자매로서 수혜 받을 수 있는 군대 병역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역(복무 단축), 예비군, 민방위 등 각 부분에서 주요 지원 내용을 알아보고 해당 대상자까지 간단히 정리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 본 포스팅에서 참조한 법령은 아래와 같습니다.법률 제20191호 병역법 (시행 2024. 5. 7) 제62조대통령령 제34429호 병역법 시행령 (개정 2024. 4. 23) 제130조  군대 병역 혜택 1. 현역 입영 대상 6개월 간 보충역에 편입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혜택은 특히 국토방위 임무 수행 중 사망 혹은 부상을 입은 군인 및 경찰 유공자를 대상으로 지원되고 있습니다. 상세한 지원 대상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몰군경, 순직 군인, 상이 1급 ~ 6급.. 2024. 7. 2.
2023 vs 2024 참전명예수당 지급액 인상 & 신설 지방자치단체 (기초, 광역) 2023 vs 2024 참전명예수당 지급액 인상 & 신설 지방자치단체를 알아보겠습니다. 전국 모든 기초 및 광역단체 중 수당을 신설하거나 인상한 지자체는 모두 68곳입니다. 얼마나 올랐을까요? 각 연도별 지급액을 비교해 보고 세부 인상액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참전수당 인상 & 신설 2023년 대비 참전수당을 인상한 지자체는 56곳 그리고 신설한 자치단체는 12곳입니다. (총 68곳) 먼저 2023년에는 참전수당을 지급하지 않았으나, 2024년부터는 조례를 개정하여 지급하기 시작한 12곳 자치단체를 알아보겠습니다. 시 단위 지역은 없으며, 모두 광역단체 산하 자치구로 서울 3, 부산 1, 대구 8곳이 되겠습니다. 주 1) 본 포스팅에 명시된 금액 변경 기준연도는 2023년 → 2024년 지급액입니다... 2024. 6. 30.
2024년 4.19 혁명 국가 유공자의 유족 보상금 및 수당 2024년 국가유공자 보훈급여금은 전체적으로 7% 전후 인상되었는데, 이 중 4.19 혁명 국가 유공자의 유족 보상금 및 수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생전 유공자의 상이등급과 선순위 유족의 신분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데, 상세한 보훈급여 정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보상금 먼저 수권유족의 신분에 따라 지급액 및 지급연령 상한 나이가 상이합니다. 수권유족이 보상금 승계 1순위인 배우자인 경우 617천 ~ 2,213천이 지급됩니다.  ▷ 배우자구분 일반60세 이상무의탁4.19 사망1,939,000 2,088,000 2,213,000상이 1~5급, 6급 상이사망1,681,000 1,830,000 1,955,0006급 비상이,7급 상이 사망617,000 766,000 891,000  보상금 승계 2순위는 자녀인.. 2024. 6. 26.
2024년 전국 보훈대상 국가유공자 지정 현황 (신분별 등록, 연령대별) 2024년 현재 대한민국 국가유공자 전국 지정 현황을 알아보겠습니다. 보훈보상대상자를 포함하여 유공자 신분별 등록 인원을 먼저 살펴보고, 가장 연령이 낮은 국가유공자(유족)는 몇 세인지 등 연령대별 지정 인원 현황도 구분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신분별 현황 2024년 기준 총 지정 인원은 717,734명으로, 이 중 본인은 441,989명, 유족은 275,745명입니다. 가장 많은 인원이 지정되어 있는 대상은 전몰/순직/전상/공상 군경 및 참전유공자로, 각 273,187명 (유족 168,327명 포함) 그리고 214,615명(전원 유공자 본인)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 외 공무원 (순직, 공상) 14,613명, 무공수훈자 88,019명, 보국수훈자 47,291명 등이 국가유공자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 2024.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