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호국 보훈 국가유공229

국가유공자 보훈병원 장례식장 이용 : 대상자 및 장례비용 할인 감면율 보훈병원 장례식장은 일반인 등 누구나 이용할 수 있지만, 국가유공자분들께는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공자의 신분이 국비 대상인지, 감면 대상인지에 따라 혜택이 상이한데, 상세한 이용 대상자 및 장례비용 할인 감면율을 알아보겠습니다. 보훈병원 장례식장 이용 대상자 국비, 감면 대상자의 구분은 국가보훈부령 제1호 국가보훈대상자 의료지원에 관한 규칙 제2조 및 제3조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각 대상자별 할인받을 수 있는 최대한도 금액이 상이합니다. ▷ 국비 대상자 상이 및 장해등급 판정 보훈보상 대상자 ※ 전공상 군경, 고엽제후유의증환자, 공상공무원(경찰, 소방), 4.19 혁명부상자, 재해부상 및 지원공상 군경 등이 포함됩니다. 고엽제후유의증 환자로 장애등급을 판정받지 못하였으나(등 외 판정자) .. 2023. 10. 4.
국가유공자 일반 병원(응급실) 진료비 환급 지원 절차 방법 국가유공자가 보훈병원이나 위탁병원이 아닌 일반 병원(응급실) 이용 시 진료비 환급받는 절차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일반 병원 이용에 대한 혜택은 없으나, 응급실이용 등 일부 규정을 충족하는 경우 지원이 가능합니다. 진료비 환급 절차 방법 ▷ 일반 병원 진료대상 증상 국비진료 대상자가 생명의 위협 등 위급상황 발생 시 별도의 규정된 절차 없이 일반 병원에서 응급처치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생한 비용에 대해 환급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위급한 상황]이라 함은 불의의 재해에 의해 긴급히 의료 처치가 필요한 경우 혹은 즉시 미처치시 생명 보전이 어렵거나 중대한 합병증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보건복지부령 제938호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2023. 9. 30.
국가유공자 의료지원 : 건강보험료 감면 혜택 (대상, 감면률 및 신청방법) 보훈병원이나 위탁병원, 치과진료 지원 등 국가유공자 대상 다양한 의료지원 혜택이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강보험료 자체를 감면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감면 적용이 가능한 유공자 대상을 알아보고, 자세한 자격 기준과 감면율 및 신청방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건강보험료 감면 대상 및 자격 조건 전공상군경, 참전유공자, 무공보국수훈자 등 모든 국가유공자 유형에게 해당 혜택이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상이]를 입은 유공자를 대상으로 하는데, 자세한 자격 요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상이를 입고 등급 판정을 받은 유공자여야 합니다. 2. 생활의 어려움으로 소득기준과 과세표준 재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먼저 첫 번째 조건인 상이등급 판정 부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위 기준에 부합하기 .. 2023. 9. 28.
국가유공자 및 유가족 의료급여증 발급 대상, 선정 기준 국가유공자 및 유가족이라면 충분한 의료지원 혜택을 받기 위해 의료급여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유공자가 발급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소득 및 주거상태에 따른 발급 대상 및 선정 기준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발급 대상 및 선정 기준 아래 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한다면 국가유공자 의료급여증 발급 대상자로 선정됩니다. 1. 생계나 주거를 같이해야 합니다. 2. 동일 주민등록표상에 거주해야 합니다. 3. 기준중위소득 80% 이하에 해당해야 합니다. (일반가구) ※ 취약가구인 경우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에 해당하더라도 발급이 가능합니다. ▶ 참고 : 2023 기준중위소득표 / 보는법 국가/독립/참전유공자 생활조정수당 및 생계지원금 수급을 위한 기준중위소득표 / 보는법 국가유공자, 독립.. 2023. 9. 26.